class="layout-aside-right list-type-thumbnail paging-number">
본문 바로가기
기타

2025년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! 무엇이 달라졌을까요?

by 활기찬무크 2025. 3. 16.
반응형

출산은 가족에게 있어 큰 축복이지만, 출산 후의 일정과 회복 과정은 부모 모두에게 중요한 시기입니다.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를 확대하였습니다.

 

2025년 2월 23일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제도를 자세히 알아보고,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
1. 배우자 출산휴가, 무엇이 달라졌나요?

기존 배우자 출산휴가는 최대 10일이었으며,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사용해야 했습니다.

하지만, 2025년 2월 23일부터는 다음과 같이 개선됩니다.

✅ 변경된 내용

휴가기간확

10일 → 20일로 증가

 

용 기한 연장

출산일로부터 90일 → 120일로 변경

 

여 지원 확대

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, 기존 5일 급여 지원에서 20일 전액 지원으로 확대

 

용 방식 변경

기존에는 최대 2번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었으나, 이제는 최대 4번까지 나누어 사용 가능

배우자 출산휴가는 출산한 날로부터 120일 이내에 반드시 20일을 사용해야 합니다.  이 점을 꼭 기억하세요!

2. 배우자 출산휴가, 어떻게 신청하나요?

배우자 출산휴가는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고용보험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 신청 방법

1. 사업주에게 출산휴가 신청 : 출산일 기준 120일 이내 사용 계획을 세우세요.

2. 휴가 사용 후 급여 신청: 휴가 사용이 끝난 후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급여 신청을 진행하세요.

3. 필요 서류 제출:

  - 배우자 출산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(출생증명서 등)

  - 급여 지급 신청서

  - 사업주의 확인 서류

3. 중소기업 사업주는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요?

배우자 출산휴가를 부여한 중소기업 사업주도 고용센터를 통해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근로자에게 휴가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한 경우, 이를 보전받을 수 있으니 신청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.

 사업주 지원 신청 방법

 1.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

 2. 사업주 지원금 신청 페이지 이동

 3. 필요 서류 제출

 4. 심사 후 지원금 지급

4. 배우자 출산휴가 미부여 시, 과태료 부과

중소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에서는 배우자 출산휴가를 반드시 20일 부여해야 합니다. 만약 이를 어길 경우,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 제도를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5.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?

배우자 출산휴가와 관련하여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, 아래 상담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.

📞 고용평등 심층 상담 서비스 ☎ 1551-9811

마무리

2025년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대폭 확대되어,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. 바뀐 제도를 잘 활용하여 출산 후 배우자가 함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충분히 보내시길 바랍니다. 😊

 

 

반응형